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ISC - ??? : 기술개발은 시간이 걸려? 그러면 기업인수 OK? (feat.국가적 지원)

일본의 수출규제가 시작된 지 벌써 몇 달이 지나고 있다

김정렬/ISC 사장 : 자체 국산화를 한다고 하지만 시간이 꽤 많이 걸리고, 그런 거보다 원천기술을 가진 회사들을 잘 발굴하면 더 빠르게, 그리고 낮은 가격에 기술 확보가 가능합니다

다들 일본의 연구 개발 기간을 못 따라잡는다고 할 때 기업? 사버리지 뭐 하는 사장님의 큰 그림은 다시 그릴 수 있게 되었는데  5년 전에 일본 기업에 했던 M&A를 이번엔 국가적 지원을 등에 업고 다시 시도하고자 한다 

사업부문별 현황

(1) 제조 사업부
1) 업계의 현황
① 산업의 연혁 및 성장과정당사가 속해있는 산업은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장비의 핵심소모부품인 후(後) 공정의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영역입니다. 반도체 테스트 소켓이란  삼성전자 등에서 개발, 제조되어 스마트폰, 자동차, IT, BT, 각종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 IC의 Final Test시 양품 또는 불량인지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소모성 부품으로 신규 반도체 IC 개발시 Test용 컨택터로 동반하여 개발되어야 하는 소량 다품종의 제품이며 Quality, Cost, Delivery, Speed 등 혁신적인 기술력이 요구되는 반도체를 포함한 모든 전자부품 제조공정에 필수요소 산업입니다

② 산업의 특성반도체 산업의 특징은 생산설비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고집적도 및 고속처리의 대응에 따른 짧은 라이프사이클입니다. 또한, 끊임없는 제품단가의 하락으로 원가절감도 중요한 과제로 반드시 해결해야 합니다. 이러한 반도체 산업의 특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대규모 설비 투자가 가능한 대기업에서 하지 않으면 경쟁력을 갖기가 어렵습니다. 반도체 및 반도체 관련 산업은 미국 등의 선진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현재는 거의 모든 전자제품과 그 연관성이 높습니다.

③ 국가경제에서의 중요성컴퓨터가 가져온 정보의 혁명 속에서 반도체와 그 관련 산업은 폭발적인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그런 기회를 놓치지 않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대만 등의 아시아권 국가들이 현재 세계시장에서 수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으로 전 세계적 추세인 초고속 정보화 사회의 실현과 국가경쟁력의 강화차원에서 우리나라에서는 21세기 첨단 핵심 산업으로 반도체관련 산업과 Mobile 산업이 국가 산업 경쟁력의 선두를차지하고 있으며, 해당 관련 기업들은 국가적인 지원 아래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2) 사업부 현황
① 수급상황
반도체 IC TEST 소켓산업은 반도체 핵심 부품산업으로서 전자산업동향에 민감합니다. 더욱이, 전자산업을 크게 구분하여 가전, 정보기기, 통신기기, 전장품, 정밀계측기기 등으로 볼 때 주 생산품의 비중이 어떤 품목이냐에 따라서 그 차이는 더욱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가전이나 정보기기는 전체적인 경기 동향에 매우 민감하여 경기추이가 전체시장 경기와 동행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통신 및 반도체, 각종 시스템기기의 경우는 기간산업으로써 지속적이고 비교적 안정된 경기 동향을 보여줍니다

② 자원조달상황
당 부문의 주요 원재료는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조달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③ 경쟁상황- 경쟁형태 및 진입 난이도스마트폰용 반도체 외에도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테스트 소켓의 수요는 계속 창출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에도 반도체 테스트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테스트 하우스의 설립이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어 이 또한 테스트 소켓의 새로운 시장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동종업체는 2~3개사가 있지만 회사마다 각기 다른 두께와 폭의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동종제품에 의한 경쟁관계이기 보다는 유사제품을 생산하는 과점적 또는 제품에 따라서 독점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또한, 선진국들의 견제 우려가 심화되고 있으나, 차세대 초고속 특성에 대응하여 개발된 당사의 제품 특성, 높은 품질과 빠른 납기, 그리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소모성 및 부자재 성격의 사업이 고부가가치에도 불구하고, 첨단장비의 지속적인 설비투자와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주문자 생산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동 사업에 진입의 난이도는 높습니다.

- 테스트 소켓의 경쟁력ㄱ. 품질 경쟁력당사는 Silicone Rubber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IC 테스트 소켓을 국내 최초로 개발, 세계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테스트 소켓 개발 및 생산기술을 가진 Silicone Rubber 테스트 소켓 사업부분 세계 1업체이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하여 현재는 어떤 경쟁 제품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국내의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를 비롯하여, 외국의 유수한 반도체 업체들이 ISC 테스트 소켓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ㄴ. 가격 경쟁력Pin 단위 제조 후 Housing에 각 Pin을 삽입 한 Block(set)으로 가격이 결정되는 일반적인 Pin Type 테스트 소켓과는 다르게 Block 단위로 1회에 제조되는 당사 제품은 경쟁업체에 비하여 충분한 가격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원가경쟁력 제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ㄷ. 납기 경쟁력일반 주문품의 경우 1주, 특별 사양의 주문품의 경우에도 2주 내에 개발 및 양산 체제를 갖추고 있어 국내경쟁사 2~4주, 해외경쟁사 6~8주 보다는 월등한 납기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ㄹ. 제품에 의한 차별화 전략세계 반도체 시장은 기존 Test 설비의 Upgrade에 따라 신규 수요가 증가하며 차세대반도체 제품의 개발 양산에 따라 수요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각 업체는 고객의 요구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신속한 제품 개발방식을 요합니다.  특히, 2010년 이후 모바일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반도체 패키지 트렌드는 크기가 줄어들고 여러 칩들이 집적되는 형태의 패키지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강점으로 가지고 있는 Silicone Rubber 소켓은 반도체 패키지 트렌드에 따라 가장 최근에 개발된 제품으로 시장이 요구하는 높은 전기적 특성과 가격경쟁력을 가진 제품이며, 이와 함께 지속적으로 고객과 밀착된 기술마케팅과 첨단장비의 지속적인 투자를 통하여 고객요구에 대한 발빠른 제품개발 대응력을 키우고 있고, 나아가 고객 Needs를 선도하는 혁신적 제품의 개발을 통해 Total Solution Provider 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④ 규제 및 지원반도체 장비산업의 경우 소비성 서비스업과는 달리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를 받지 않으며 특별히 반도체산업에만 적용되는 법령은 없습니다. 정부는 반도체 장비산업과 같이 고부가가치의 벤처산업의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바 정부로부터의 세제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해외 수출 시에는  환경안전 관련하여 EU를 중심으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UN 산하 UNEP에서도 환경문제를 무역장벽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환경안전에 대한 기술개발 및 투자확대가 필요합니다.

⑤ 사업부 성장과정제조사업부의 2001년 2월 창립시기에는 삼성에서는 차세대 Socket으로 고속화에 대응이 가능한 일본 제품을 양산 제조에 확산하는 시점이었습니다. 그러나 당사만의 고유 기술로 국내 첫번째이자 세계 두번째로 차세대 Test Socket인 ISC (Integrated Silicone Contactor)를 개발하여 삼성전자에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설립 다음해부터는 품질에서 일본 제품을 앞지르고 전량 당사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게 되었으며 매년 급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2014년 일본 JMT 지분 및 원천특허 인수에 따른  지식재산권과 원천 기술의 확보로 매년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3) 시장점유율제품별로는 반도체 메모리 및 모바일 IC (AP, LPDDR) 테스트 소켓 부분에서 세계 1위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반도체 IC Final 테스트 소켓 분야에서 국내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4) 시장의 특성소모성 및 부자재 성격의 사업이 고부가가치에도 불구하고, 첨단장비의 지속적인 설비투자와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주문자 생산방식의 소량 다품종 또는 대량 소품종으로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동 사업에 진입의 난이도는 높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등 모바일 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그에 따른 신규 반도체 패키지의 개발에 따라 동 패키지 테스트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 제품의 고집적도 구현을 위한 Shrink 기술이 발전하면서 테스트 수요도 동반해서 늘어 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도체 검증 측면에서 리노공업이 압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ISC가 반도체 테스트 관련해서 이런 위치를 점하고 있을 거라는 걸 알지 못했다


                                  다음은 뉴스 일부를 발췌한 내용

완성된 반도체를 검증하는 시험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인 '테스트 소켓'을 만드는 국내 중견기업입니다. 이 업체는 5년 전 첨단 소재 기업으로 유명한 일본 JSR의 자회사 1곳을 인수합병했습니다. 특허 분쟁 위험에 자체 연구 개발과 영업 확대에 어려움이 생기자 원천기술 업체를 아예 사버린 것입니다. 그 후 매출은 2배로 늘었고 보유 특허도 600여 개로 늘어났습니다. 지난달 일본 수출 규제가 확대 시행되자 이번에는 관련 공정의 '도금'과 '정밀세공' 기술을 가진 일본 업체에 대해 추가 M&A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중략)
수출 규제 사태가 불거진 지난 7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일본 기술을 따라잡는 데 반세기가 걸린다며 해외 원천 기술을 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 경영계와 코트라, 산업은행 등 은행들이 연합한 해외 M&A 공동지원 협의체가 출범했습니다. 인수 대상 기업을 찾으면 금융자금을 적극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912204209599)
이번에 일본을 잡아 버릴 생각인 거 같다.
네이버금융이 알아보기 쉬워서 자주 보는데 per은 9배 이하 pbr은 1배 이하이다. 이책 저책 읽어보니 per은 15 pbr은 1배 이하면 저평가라고 설명을 하지만 맹점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어서 한편으로는 조심스럽기도 하다.


시총대비 매출액이 조금 작다. 기업개요에 업종 관련 설명이 간락히 니와있는데 해당 업종의 부진이 주 원인이라고 한다. 17년도에는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eps로 보아 반도체업종의 호황기를 지나 원상복귀한 것으로 보이는데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반도체 관련업종들의 주가가 부진했던 것과 연결되어 보인다.

기업 뉴스를 보니 최근 5일간 외인 매수세가 좋다는 걸 확인했고 강한 매수세가 들어온 기간은 더 길었던 걸로 짐작된다. 대충 기간과 고점과 저점에 선 긋고 외인들의 평단가를 예측해보니 가운데에 그은 선 정도로 보인다.


일봉상으로는 주가는 현재 음운과 양운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있다. 길게 보면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가 약 1년 간 상승분을 반납하고 장기추세선 아랫부분에 맞닿아있다 주봉상으로는 구름대를 뚫으려고 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