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송원산업 - 해당 산업 국내점유율 60%. 세계점유율 22%. 아쉬운 건 업황

사업의 개요
가.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1) 산업의 특성 송원이 약 22%의 세계시장 수요점유율로 2위를 차지당사가 국내시장의 약 60% 이상을 점유

산업의 성장성
  폴리머안정제는 석유화학업계의 가동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접착제 및 잉크바인더용 폴리우레탄수지는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여 화학물질 규제에 빠르게 대응하여 국내는 물론 동남아지역에 수출량 증가시키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경쟁우위요소
  폴리머안정제 : 당사는 원료의 자체생산 및 국산화로 원료수급에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시장 수요 증가에 따른 생산능력의 향상과 자동화를 통하여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높여 품질과 가격의 시장확보측면에서 우위

 글로벌시대를 맞아 최근 중동 및 유럽, 미주지역을 중심으로 OPS(One Pack System)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

  PVC 안정제 : 당사는 원가경쟁력 확보에 주력하여, 이에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석계(Tin계) 안정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중간원료를 생산하고 있어 국내에는 경쟁업체가 없는 상황

국내시장여건
  PVC 안정제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보다 높은 수위의 환경규제를 제정함에 따라,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신장을 추진중

최근 Major window profile 업체들이 중금속 안정제를 CZ계통 안정제로 전환 사용하고 있으며, 송원은 중금속 안정제를 생산하지 않아 그 동안 window profile 시장에 참여할 수 없었으나, 시장의 환경이 바뀜에 따라 당사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김으로 인하여 당사 안정제 매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해외시장여건
   최근, 기존의 화석계 원료를 대체할 자원으로 부상한 셰일가스의 기대감으로 미주지역에 석유화학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PVC안정제의 경우 전세계 시장 수요점유율은 미미하나, 친환경 제품 생산으로 유럽 및 아시아 지역의 판매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7) 영업개황
 
  (가) 부문별 매출
                                                                                (단위 : 백만원, %)
구     분당 반 기전 반 기
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
Industrial Chemicals
산업용 화학제품
- Polymer Stabilizers
  폴리머 안정제
- Fuel & Lubricant Antioxidants
  연료 및 윤활유 첨가용 산화방지제
302,611 74.01284,316 73.22
Performance Chemicals
기능성 화학제품
- Tin Intermediates, PVC Additives, Polymers
  주석화합물, PVC 안정제, 폴리머
- Specialty Chemicals
  특수 화학 제품
106,273 25.99103,997 26.78
합     계408,884 100.00388,313 100.00


  (나) 지역별 정보
(단위 : 백만원, %)
구     분당 반 기전 반 기
매출액비율매출액비율
한    국87,876 21.4990,575 23.33
그 밖의 아시아 국가112,432 27.50107,018 27.56
유    럽98,960 24.2089,511 23.05
북 남 미87,473 21.3977,850 20.05
호    주1,200 0.291,022 0.26
중동 및 아프리카20,943 5.1222,337 5.75
합     계408,884 100.00388,313 100.0

 (8) 수요점유율(share of demand)
  당사가 자체 분석한 시장의 수요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폴리머안정제의 세계시장 수요점유율은 약 22%로 지난 3사업연도 동안 안정적인 수요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수요점유율은 폴리머안정제 63%, TIN원제 81%, 안정제 39%입니다. 국내시장 수요점유율은 지난 3사업연도 동안 변화가 거의 없는 안정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수요점유율은 당사가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분석한 수치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지배회사인 당사는 단일의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그외 기타 분류안된 화학제품 제조업(20499)』입니다.
다.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사업 발전   폴리머 산업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글로벌 금융상황에 따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송원은 첨가제 산업에서 늘어나는 시장수요를 충족하여 왔습니다. 매암공장은 알킬페놀과 이소부틸렌을 생산하면서 완벽하게 수직계열화를 시행하였고, 공급과 비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송원은 가치, 품질, 신뢰도에 있어서 고객들이 선택하고 싶은 글로벌 공급기업이 되고 있습니다.

  송원산업그룹은 해외사업에서도 지역적 전략과 입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현재 송원산업 그룹은 15개의 법인과 3개의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독일, 미국, 중국, 인도, 아부다비에 제조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송원산업그룹은 글로벌 OPS(One Pack System) 전략의 일환으로 독일, 미국, UAE의 아부다비에 OPS 제조공장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OPS라는 브랜드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군은 여러가지 첨가제를 지정된 비율에 따라 배합하여 과립형상으로 제조한 폴리머 첨가제 제품으로 배합 정밀도가 높아 성상이 균질하다는 이점을 제공합니다.


기업개요 
동사는 1965년 화학제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를 위해 송원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7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동사는 폴리머 안정제 화학제품 제조, 가공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PVC안정제, 가소제, 고흡수성수지, 폴리우레탄 등 합성수지 사업을 영위 중이고 
미국, 중국, 일본, 스위스, 인도, 바레인, UAE 등의 국가에 공급망을 구축해 글로벌 전략을 영위 중이다.

per은 약 11배, pbr은 1.05배로 약간의 저평가를 받는 분야이다
최근 화학업종이 고평가 되는 시기는 아니라고 하는지 동일업종 per을 보더라도 15배 이하인 10.35배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다


시총이 4308억인데 반해 18년 기준 연재무와 비교하면 psr은 약0.54로 뛰어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16년 11%를 기준으로 하락하는 국면에 있지만 최근 19년6월 분기재무로 보았을 때 5~8%를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두자리수로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일시적인 개선인지 아닌지는 3분기 실적발표가 나와봐야 알 수 있는 내용일 것이다.

유보율은 3373%로 원자재인 석유에 의존도가 높아서인지 오일쇼크와 같은 경기변동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돈을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eps는 증가가 느리지만 bps에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배당은 0.89%, 배당성향은 10.08%로 주주로서 배당을 받는다면 아쉬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영업활동 현금흐름표를 보았을 때 비교적 꾸준한 흑자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투자활동현금흐름표에서는 15년도 한차례 투자활동이 부실했던 점을 제외하고는 사업확장을 위해 꾸준히 투자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봉상 흐름으로 보면 2016년도부터 형성된 16000원대를 깨지 않고 있는 모습을 보이며 현재 가격은 단기 고점에서 절반 가량 빠진 모습을 보이고 있어 매수하기에 부담스러워 보이진 않는다

주봉에서 보면 현재의 주가 위치를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친환경이 대두됨에 따라 어려운 면도 있지만 꾸준한 개선을 찾는 기업으로 보인다.

댓글